특수교육법, '중도중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유형 신설
2021년 12월 28일 이 일부 개정되었다(시행 2022.6.29., 법률 제18637호, 2021.12.28.).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개정은 특수교육대상자의 유형이다. 법 제15조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유형을 제시한다.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정서ㆍ행동장애, 자폐성장애(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한다),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 등 총 10개의 장애유형에 더해 열한 번째 장애유형으로 '그 밖에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있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를 추가했다.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진단ㆍ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1. 시각장애 2. ..
더보기
미국 전장애아교육법(IDEA)의 장애유형 및 정의
개요 IDEA는 자폐, 맹-농, 농, 정서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중복장애, 정형외과적 장애, 기타 건강장애, 특정 학습장애, 말 또는 언어장애, 외상성 뇌 손상, 시각장애(맹 포함) 등 13가지 장애유형을 정의한다. 한국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다른 점이 몇 가지 있다. 첫째, 농과 청각장애를 구분한다. 한국은 청각장애라는 장애유형 안에 농과 난청을 모두 포함한다. 둘째, 정형외과적 장애와 외상성 뇌 손상을 별도로 정의한다. 한국은 정형외과적 장애가 모두 지체장애에 포함된다. 외상성 뇌손상은 그 증상에 따라 다양한 장애유형으로 분류한다. 구체적인 용어 사용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 정서장애는 '정서.행동장애'로, 중복장애는 '중도중복장애'로(최근 신설된 장애유형이다), 기타 건강장..
더보기
논문 결론 및 논의 부분에서 써야 할 것은?
모든 논문은 마지막에 결론, 논의,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이 부분은 '논의 및 결론', '결론', '결론 및 논의' 등 다양한 제목을 사용한다. 사실 어떻게 쓰든 간에 ①요약, ②논의, ③결론, ④제언 등 네 가지를 포함하는 게 기본 틀이다. 그렇다면 이 각각의 요소가 무슨 내용을 포함하는지 알아보자. 요약 : 연구의 문제, 방법, 결과를 간단히 요약(1~2문단) 논의 :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학술적 의의 논의 결론 :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제도 제언, 현장/실천 제언 제언 :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한계를 토대로 후속연구 방향 제언 요약 요약은 기본적으로 나의 연구를 축약하여 서술한다. 연구의 필요성 한 문장, 연구방법 한 문장, 연구결과 2~3문장으로 한 문단 정도면 충분하다. 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