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잘 쓰는 법 : 좋은 논문의 세 가지 조건
1. 가독성이 좋은 문장 짧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 문단의 두괄식 구조 가독성의 기본은 '길이'다. 짧은 문장이 좋다. 한 문장씩 끊을 수 있으면 끊는다. 굳이 길게 쓸 필요가 없다. ~하고, ~하며, 하므로 등으로 이어진 문장을 쓰거나 나열할 필요가 있는지 자문하라. 또 과도한 접속사나 군더더기 표현(-적, -것, -의, -에 대한, -의 경우 등), 똑같은 어미의 반복(-있다, -할 수 있다, -것이다 등)을 줄이면 문장이 훨씬 깔끔하다. 무엇보다 각 문단을 두괄식으로 구성하면 좋다. 각 문단의 첫 문장은 뒤의 내용의 핵심을 나타내는 리딩 센텐스(leading sentence)라고 생각하자. 연구는 소통이다. 아무리 논문의 본질은 글의 구성, 연구 설계의 타당성, 논증 과정에 있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
더보기
특수교사는 숭고한 존재가 아니다
특수교육을 향한 일반인의 시선은 다음과 같다. - 장애인 : 불쌍함, 무능함, 무용함, 무서움 - 특수교사 : 봉사 정신, 사명감, 숭고함, 소명 '장애인 혐오'와 '특수교사의 이상화'의 맥은 같다. 대중은 장애인을 동정한다. 아니면 무서워한다. 아니면 쓸모없으므로 존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선은 모두 넓은 의미의 혐오다. 장애인 혐오는 모든 장애인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시도이다.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엄하게 보지 않는다. 그저 장애인일 뿐이다. 동시에 특수교사는 이상적인 성인군자라고 생각한다. 봉사 정신과 사명 의식으로 똘똘 뭉쳐 불쌍하고, 무섭고, 쓸모없는 장애인이란 존재를 돌본다. 특수교사인 내가 실제로 많이 듣는 말이다. "고생한다", "힘들겠다", "대단하다". 모두 선의의 말이므로 아니꼽..
더보기
형이상학, metaphysics의 뜻과 어원
1. metaphysics 형이상학의 영어 표현은 'metaphysics'이다. 그리스어 metaphyca에서 기원한다. meta(메타)는 '~뒤에'를 뜻 한다. 어떤 현상의 배후, 이면의 원리를 말한다. 보통 접두사처럼 쓰인다. 'meta~'는 '~에 대한 ~'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메타인지(초인지) : 인지(지각, 주의, 기억, 인출, 전략 등)의 전과정을 발견, 관찰, 통제, 판단하는 정신작용. 인지에 대한 인지. 메타언어 : 언어 그 자체에 대한 기술, 분석을 하는 언어. 언어에 대한 언어. 메타연구 : 연구에 대한 연구. 연구동향을 파악하거나 실험의 효과크기를 비교하는 등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결론이나 해석을 내놓는 연구. physics는 물리학 또는 자연학을 말한다. 이때 ph..
더보기